전복들 [We Are Here And Everywhere]
― 라이너 노트
"‘있음’으로 되새기는 ‘되기’의 노래"
― 정병욱(대중음악평론가)
우리는 저마다 여러 가지 가면을 번갈아 쓰며 살아간다. 거짓된 외면이 아닌 그저 필연적으로 다를 수밖에 없는 분리된 정체성으로서 가면 말이다. 이 노래를 부른 전복들의 리더(고창일) 역시 그렇다. 직장인이자 남편 혹은 아버지로, 기타팝 밴드의 프론트맨이자 지역 문화 웹진의 편집장으로, 사회인야구팀의 선수로. 누구나 한두 가지 이상 필연적으로 떠안는 현실 속 일인다역의 역할극은 맡아야 할 역이 늘어남에 따라 자연스레 단순한 일상에는 복잡성이, 단편적인 인격에는 입체성이 부여된다.
밴드 ‘전복들’의 음악을 처음 들었을 때 그 이름이 참 절묘하다고 생각했다. 동물 전복(abalone)과 뒤집는다는 뜻의 전복(轉覆)을 중의적으로 내포한 작명처럼 전복들의 음악에는 소년 같은 장난스러움과 천진난만함, 세상의 모순을 비딱하게 바라보는 문제의식이 교차했기 때문이다. 스스로 기타팝으로 천명하며 음악적 정체성을 폭넓게 뭉뚱그렸지만, 이들의 음악은 곡에 따라 차분하고 서정적인 모던록과 투박한 펑크가 공존했고, 가사의 은유에는 시적인 낭만과 사회 비판적인 메시지가 다채롭게 담겼다.
2년 만에 발표한 이번 싱글은 전복들의 정체성을 고스란히 이어받았다. 그것도 여러 곡을 통해 다면적으로 드러냈던 개성들이 한 곡 안에 집약됐다. 그것도 ‘대구 퀴어 문화 축제’의 10주년 기념 헌정곡이라는 중요한 타이틀을 달고서. 제목과 가사에서 반복되는 “We are here and everywhere”라는 선언적 문구를 어절마다 쪼개어 읽는 것으로 구체적인 의미를 부여하고 설명할 수 있다. 말하자면 ‘we’는 이 노래의 화자와 청자가 모두 잊지 않고 짊어져야 할 또 하나의 가면이다. 바쁜 하루에 녹아드느라 구석에 쌓아두고 잊기에 십상인 같은 연대이자 동지로서의 정체성 재인식이다. ‘are’는 선언이다. 바라는 세상이 곧 오든 오지 않든 우리는 결국 변하지 않을 ‘무엇’이라는 확정적 정의다. 그와 같은 불변의 의지 및 현재성은 ‘here’로 이어진다. 또한 ‘and’는 확장성을 가늠하는 실마리이며, 이와 같은 미래지향적 낭만은 마지막 ‘everywhere’를 통해 온전히 완성된다.
음악은 가사의 의미를 고스란히 반영하고 실천한다. ‘we’로서의 집단 정체성은 인트로부터 함성으로써 개시해 후렴에서 보컬 파트를 백업하는 합창에 의해, 퀴어의 상징인 무지개를 드러내고자 했다는 겹겹이 쌓은 레이어를 통해 표현된다. ‘are’의 선동적인 선언은 담백한 보컬과 단호한 합창 모두에서 느껴지는 결연한 태도와 덜컥거리며 앞으로 나아가는 드러밍에서 읽을 수 있으며, ‘here’의 불변성과 현재성은 2020년에도 마치 피터팬과 같은 변하지 않는 낭만을 유지하는 이들의 유려한 기타 라인과 파워팝 사운드, 여전히 소년 같은 보컬에서 그 단서를 찾을 수 있다. ‘and everywhere’의 지속성과 확장성은 완전한 종결을 맺지 않는 코드 진행의 여운으로 대신한다.
변화하는 세상은 우리 손에 더 많은 가면을 쥐여준다. 많은 수의 가면은 일상에 피로를 더하고, 새 가면은 묵은 가면의 존재를 망각하게 하기도 한다. 이는 갖가지 디테일을 고려하고도 결국 이 노래의 총체가 명료한 메시지와 명쾌한 미학을 앞세우게 된 까닭이기도 하다. 각자 소중히 여기는 가면과 가치만큼 절대 잊거나 놓지 말아야 할 가면이 여전히 내 손에 ‘있음’을, 그 가면을 쓸 내가 너와 우리 사이에 있음을 상기하게 하기 위함이다. 항상 쓰고 있을 수 없어도 언제든 쓸 준비를 한다. 나와 우리가 ‘되어(to be)’ 있다면, 세상도 ‘된다(be possible)’.
― Credit
프로듀서 : 단편선@OSORIWORKS
작곡 : 고창일
작사 : 배미나
편곡 : 고창일, 김현우, 배미나, 정성훈, 안현우, 전성현, 단편선
노래 : 고창일
코러스 : 고창일, 김현우, 안현우, 전성현
기타 : 고창일, 김현우
베이스 : 안현우
드럼 : 전성현
피아노 : 단편선
녹음, 믹싱 : 천학주@Mushroom Recording Studio
마스터링 : 강승희@Sonic Korea Mastering Studio
디자인, 사진, 영상 : 한상아
배급 : 비스킷 사운드
0